HTML의 데이터 전송 방식
1.Get
- 데이터를 쿼리 스트링 방식으로 전송
-> URL의 뒷 부분에 이어 붙임
- 패킷의 header 영역에 데이터를 담음
- URL 에 덧붙이기 때문에 최대 4000자 정도의 전송만 가능
- 상대적으로 보안이 약함
- 데이터를 호출하는 시간이 Post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름
2.Post
- 패킷의 Body에 담아서 전송
- 상대적으로 보안이 강함
- 용량 제한이 없음
※form 태그의 method 속성을 이용해서 전송 방식의 선택이 가능
예시)
<form action="ex09makemul" method = 'get'>
-> get 방식은 기본 설정, default 이다.
개발자 도구에서 다음과 같이 확인 가능
![]() |
| GET 방식 사용됨 <form action="ex09makemul" method = 'post'> |
![]() |
| 별도의 쿼리 스트링이 기입되지 않음 |
※Service 내에서 post, get 방식을 구분하여 실행함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