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의 파일은 각각 권한이 부여되어 있다.
ls -l 로 확인이 가능하며, 가장 앞 부분 r,w,x 등의 알파벳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파일의 부여된 권한 |
맨 첫번째 글자는 파일의 유형을 의미한다.
d : 디렉토리
l : 링크 파일
- : 일반 파일
즉 이미지의 파일은 디렉토리이다.
총 세가지 권한으로 나뉘며, 2 진법의 형태로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 소유자 접근 권한 | 그룹 소유자 접근 권한 | 기타 사용자 접근 권한 | ||||||
| 4 | 2 | 1 | 4 | 2 | 1 | 4 | 2 | 1 |
| r | w | x | r | w | x | r | w | x |
r : 읽기 권한
w : 쓰기 권한
x : 실행 권한
이미지의 파일의 권한을 해석하자면
이미지의 파일의 권한을 해석하자면
이 디렉토리 파일은 소유자는 읽기(r), 쓰기(w), 실행(x) 모두 가능하며, 그룹을 소유한 사용자는 쓰기를 제외한 다른 동작만 가능, 그 외의 사용자(기타 사용자) 또한 동일 하다.
파일 권한 수정 방법
각 권한은 2 진법으로 표기가 가능하다.
| 소유자 접근 권한 | 그룹 소유자 접근 권한 | 기타 사용자 접근 권한 | ||||||
| 4 | 2 | 1 | 4 | 2 | 1 | 4 | 2 | 1 |
| r | w | x | r | w | x | r | w | x |
rwxr-xr-x 의 경우
소유자 접근 권한의 경우 4 + 2 + 1 = 7(111(2))
그룹 소유자 접근 권한의 경우 4 + 0 + 1 = 5(101(2))
기타 사용자 접근 권한의 경우 4 + 0 + 1 = 5(101(2))-> 755
권한을 수정하는 경우,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한다.
chmod 권한 값 "파일명"
만약, 그룹 소유자가 해당 파일을 수정 또는 쓰기 권한을 가지고 한다면
chmod 775 "파일명"
(그룹 소유자 접근 권한 4(r)+2(w)+1(x)=7 )
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된다.
※디렉토리의 경우, 하위의 모든 파일의 권한을 함께 수정하고자 한다면
chmod -R 권한 값 "파일명"
-R 옵션을 사용한다.
※다른 방법의 권한 부여
r, w, x 문자 자체로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소유자 접근 권한은 u, 그룹 소유자 접근 권한은 g, 기타 사용자 접근 권한은 o 로 구분
권한 부여 방법은 다음과 같다
ex) 소유자 접근 권한-실행 권한 회수
chmod u-x 파일명
ex) 소유자 접근 권한-실행 권한 부여
chmod u+x 파일명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