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히 JSP/Servlet 을 사용하여 MVC2 패턴을 사용하는 경우, controller는 객체를 생성하여 view로 전달하는 servlet 파일과 대상 객체를 선택하는 class(actionFactory) 파일로 구분된다.
Spring의 경우, 분리하는 방법, Controller 단일로 동작하는 방법 둘 다 가능하다.
(전자의 방법은 찾게 되거나 기회가 된다면 정리할 예정)
※ Controller 구성 예시 : src/main/java 경로, com.zerock.controller 패키지
① 해당 Class 파일이 Controller 임을 명시
② http://localhost:Port number/board/ ~ 에 대한 모든 요청을 처리함을 명시
③ http://localhost:Port number/board/list 에 대한 get 요청 처리
- Model 객체를 변수로 사용한 경우, 값을 저장하여 전달 가능(request 객체 사용과 동일)
④ http://localhost:Port number/board/register, get 요청에 대한 처리, 단순 페이지 이동
⑤ http://localhost:Port number/board/register, post 요청에 대한 처리 및, redirect 처리
⑥ http://localhost:Port number/board/get 에 대한 요청 처리
- @RequestParam : 매개변수의 이름(문자열)을 갖는 값(쿼리 스트링으로 저장된)을 후술 된 매개변수에 저장
※ 메소드의 명과 jsp의 이름은 편의를 위해 동일하게 설정
※ Class 파일의 controller의 사용을 위해서는 servlet-context.xml 파일에 해당 내용을 기입하여야 함
<context:component-scan base-package="com.zerock.controller"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