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령어
df : disk free, 리눅스 시스템 전체, 분할 파티션 별 디스크 사용량
du : disk usage, 디렉토리 별 디스크의 사용량
free : 유휴 및 전체, 사용 메모리의 확인
fdisk : 파티션 분할
blkid : 하드 디스크 uuid
quata : 쿼터 설정 정보를 유저 별로 출력
ps : 사용자 로그인 후 현재 이용 중인 셸을 확인할 수 있음
env : 환경변수 확인 및 설정
chsh : 사용 셸 변경
PROMPT : 화면에 사용 중인 로그인 쉘을 변경하는 명령어
TERM : 로그인한 터미널 종류를 확인
- crontab
crontab -r [-u [유저명]] : 해당 유저의 설정 파일 삭제
- e : 내용 작성 및 수정
- d : 등록 내용 삭제
- l : 지정 사용자에게 등록된 리스트 출력
/etc/cron : 일정 주기별로 특정 동작을 수행시켜 주는 명령어
/etc/init/cron.conf : cron 설정 파일
/etc/cron.d : cron.deny, cron.allow 를 사용하여 crontab 명령에 대한 엑세스 제어
/etc/crontab : cron을 이용하여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작업을 예약할 때 설정하는 파일
- exec : 호출 프로세스가 새로운 프로세스로 변경
- fork : 새로운 프로세스를 기존의 프로세스를 복제하는 방식, 복제 대상의 부모 프로세스의 자식 프로세스로 관리
- top : 동작 프로세스의 종료, 우선순위 변경, 메모리 사용률의 확인
- vi -r [파일 명] : vi 로 작성되던 파일의 복구
- mail : 메일전송
mail -s "메일제목" 수신메일주소 < 전송파일 명
지정된 계정명으로 원경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
- talnet -l 계정명 도메인주소
- ssh -l 계정명 도메인주소
※ tar : 파일 압축
J : xz 유형의 압축 파일 적용
x : 압축 헤제
v : 처리과정 화면 출력
f : 아카이브 파일명 지정
C : 대상 디렉터리 경로 지정
※ 마운트
# mount [option] [device] [directory]
옵션 명시 : - o
ro : read-only
remount : 재 마운트
loop : 이미지 파일(iso) 마운트
※ 특수 권한
SetUID : s, 4 값
SetGID : s, 2 값
Sticky bit : t, 1 값
ex) 2777 : SetGID 설정
3777 : SetGID, Sticky bit 설정
※ 셸
bash : 1989년 브라이언 폭스가 작성한 유닉스 셸
csh : 빌 조이가 개발한 유닉스 셸
ksh : 1980년 초 벨 연구소의 데이비드 콘이 개발한 유닉스 셸
tcsh : 1975년 켄 그리어가 테넥스 운영체제에 명령행 완성기능을 반영, 명령행 편집 기능 등 개발됨
/etc/shells : 사용 가능 셸 목록 정보
※ cmd
셀 명령행에서 명령줄이 긴 경우, \ 기호를 이용하여 명령줄 연장 가능, 이때 관련된 환경 변수는 PS2
Ctrl + Z : 포어그라운드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전환
Ctrl + C : 포어그라운드 작업 종료
※ 에디터
- 텍스트 환경 기반의 대표적인 편집기는 vi, emacs, pico
- pico는 최신 버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설치가 원활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
- pico 대신 nano 라는 pico의 복제 및 개량 품이 대신 기본 에디터로 제공됨
- vim 은 패턴 검색 하이라이트 기능, 다중 되돌리기 기능, 문법 검사 기능을 제공
- pico 는 Aboil Kasar가 개발한 유닉스 기반의 텍스트 에디터이다
최상위 도메인
기존 최상위 도메인 : com, net, org, edu, gov, mil, int
2000년 신규 생성 도메인 : biz, name, info, pro, museum, coop, aero
네트워크 기술
- ATM : 회선 교환의 실시간 성 및 패킷 교환의 유연성을 통합 시킨 연결 지향적 패킷 교환망
- FDDI : 이중 링 구조를 가진 고속 근거리 망
- X.25 : 1970년대 후반에 개발된 공중 패킷 교환망
- DQDB : 도시권 통신망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IEEE 802.6 규격. 회선 교환, 패킷 교환이 모두 가능, 데이터, 음성 및 비디오 등의 전송을 지원
※ 기타
Makefile : 컴파일을 위한 쉘 스크립트로 자동적으로 한 줄 씩 해석하여 컴파일 하도록 만든 파일
- 일반적인 소스 파일 설치는 make 후 make install 을 수행하는 반면 MySQL 5.5 버전부터는 cmake 를 수행 후 make install
데비안 계열 리눅스 패키지 관리 기법
apt, alien, dselect
SUSE 계열 리눅스 패키지 관리 기법
ZYpp, YaST, Zypper
네트워크 프린트 설정 환경
IPP 프로토콜, LPD 프로토콜, https 프로토콜
X윈도는 MIT 라이선스를 적용받음
GNOME 기반 응용 프로그램
- nautilus, totem, evolution
KDE는 Qt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GNOME는 GTK+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개발됨
- 이더넷 케이블
cat3 : 대역폭은 16MHz 표준규격은 10Base-T
cat5 : 대역폭은 100MHz 표준규격은 100Base-T
cat5e : 대역폭은 100MHz 표준규격은 1000Base-T
cat7 : 대역폭은 600MHz 표준규격은 10GBase-T
네트워크 설정 파일
/etc/hosts :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에 매핑하는 파일
/etc/resolv.conf : DNS 서버 지정 파일
/etc/sysconfig/network : 네트워크 사용 유무 지정, 호스트명 설정, 게이트웨이 주소 설정, NIS 도메인 명 등이 기록되는 파일
/etc/sysconfig/network-scripts : 리눅스 이더넷 카드 설정 파일
댓글
댓글 쓰기